Psychological Counselling and Sandplay Therapy
Korean Association of School Sandplay
Research Article

모래놀이치료에서 악기의 상징적 의미

곽현정1,
Hyeon-Jeong Kwak1,
1맑은마음상담센터 센터장
1Puresoul Center
Corresponding author : Hyeon-Jeong Kwak, (31198). Puresoul Center, 6-1, Cheongsu 15-gil, Dongnam-gu, Cheonan-si, Chungcheongnam-do, Republic of Korea, E-mail : hangil7955@naver.com

© 2025 Korean Association of School Sandplay.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Jan 31, 2025; Revised: Feb 02, 2025; Revised: Mar 18, 2025; Accepted: Apr 03, 2025

Published Online: Apr 10, 2025

요약

본 연구는 모래놀이치료 과정 중 제작되는 모래놀이 작품에 등장한 악기의 상징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철학과 예술에서 인식되며 표현되었던 상징(Symbol)은 심리학적 개념으로 사용되면서 심리치료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다. 상징의 의미와 치료적 영향은 모래놀이치료에서도 중요한 연구주제가 되어왔다. 악기는 성경 및 동서양의 신화와 민담 등에서 치유와 치료, 감정의 표현, 물과 공기처럼 흐르는 여성성의 특성 및 조화의 균형, 질서 등 다양한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모래놀이 작품에 등장한 악기가 어떻게 악기의 다양하고 다층적인 상징성을 표현하는지에 대해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모래놀이 작품에 등장하는 악기는 치유, 감정, 욕망, 죽음 혹은 퇴행, 여성성, 조화 등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ymbolism of musical instruments appearing in sandplay works produced during sandplay therapy. Symbols began to be recognized and explored in philosophy and art, and have been widely studied in psychotherapy as they have been used as psychological concepts. The meaning and therapeutic influence of symbols have also been an important research topic in sandplay therapy. Musical instruments contain various symbolisms such as healing and treatment, expression of emotions, characteristics of femininity flowing like water and air, balance of harmony, and order in the Bible and Eastern and Western myths and folk ta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usical instruments appearing in sandplay works express their diverse and multilayered symbolism through cas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musical instruments appearing in sandplay works contained various symbolic meanings such as healing, emotions, desire, death or regression, femininity and harmony.

Keywords: SPT; 상징; 악기; 음악
Keywords: SPT; Symbols; Instruments; Music

서론

철학에서 인식되고, 예술에서 표현되던 상징(Symbol)을 심리학으로 불러들인 사람은 Freud(1931,pp 416-419)였다. 그는 꿈에서 상징이 풍부하게 이용된다는 것을 알았다. 꿈은 상징으로 가득 차 있다. 하지만 상징은 드러나기도 하고, 숨어있기도 하기 때문에 꿈 해석은 수수께끼처럼 어려워질 수 있다. 이러한 꿈 해석의 불확실성은 여러 가지 의미를 내포하는 상징성의 특성 때문이다. 다른 여러 개의 사고와 소원을 하나의 내용에 묘사할 수 있는 꿈의 특성과 결부된다.

Freud(1931,pp 427-443)는 상징을 통해 꿈을 해석함으로써 억압된 콤플렉스가 의식의 검열을 피하기 위하여 상징이 사용된다고 보고, 꿈 상징을 꿈 분석의 보조 수단으로 한정하였다.

Klein(1935)은 그녀의 연구 “The Importance of Symbol-Forma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 Ego”을 통해 마음속에 상징적 관계가 없는 아동은 현실과 관계를 맺을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자아의 발달과 현실 사이에는 초기 불안 상황이 놓여있는데, 이 때에 불안은 풍부한 상징 형성과 환상의 기초가 된다. 그녀는 상징적 표현이나 환상의 역할을 놀이 분석에만 국한하지 않고, 자아가 현실과 관계를 구축하는 중요한 역할로 보았다. 또한 자아는 상징적 체험을 통해 불안을 조절하고, 현실로부터 단절을 극복하여 치료될 수 있다. 그녀는 “상징”이“전이”처럼 심리치료의 치료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Jung(2013)은 심리치료에서 상징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연구하였다. 그는 상징이 image로 표현되고, 대상과 상호 대응하는 관계를 이루는 점과 정동(emotion)을 담은 정신적 에너지를 많이 담고 있다는 등 상징의 특성을 정리하였다. 그는 목적지향적 사고(la pensee dirigee)와 상상적 사고(la pensee imaginative)를 구분하고, Libido가 상징을 통해 변환하는 상징의 변환적 기능이 심리치료에서 인상적인 치료적 요인이라고 보았다.

상징의 의미와 치료적 영향의 문제는 심리학을 통해 중요하게 연구되어 왔다. 마찬가지로 모래놀이치료(Sandplay Therapy;SPT)에서도 상징은 중요한 연구 과제이다.

이론적 배경

이미지와 상징

인간의 마음은 본질적으로 언어보다 이미지에 더 친숙하다. 이미지는 인간 내면의 깊은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 복잡한 개념이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울 때, 우리는 종종 이미지를 통해 더 쉽게 표현할 수 있다. 이는 이미지가 정신적 경험의 직접적인 표현이기 때문이다(Jung, 2013).

상징은 이미지를 통해 언어를 초월하는 무언가를 표현한다. 상징은 이미지라는 '상자(箱子)' 속에 무의식적이지만 의식화되어야 할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를 통해 내면 깊숙이 있는 마음의 내용을 드러낸다(김성민, 2014; 박문희 & 안운경, 2021). 상징은 단순한 이미지 이상의 것으로, 특별한 에너지를 담고 있어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다(Eliade, 1998). 상징은 이미지와 감정의 복합체이며, 이미지에 감정이 작용할 때 신성한 힘이나 심리적 에너지가 생성되며, 이 순간부터 상징은 역동적으로 특정한 의미를 생산한다(Jung, 2013).

상징적 체험과 심리치료

상징적 체험은 다양한 심리 치료적 접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개인의 치유를 돕는다(Dow, 1986; Kirmayer, 1993). 상징적 놀이는 아동의 정서 조절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연구에 따르면, 상징적 놀이를 통한 심리치료는 아동의 정서 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는 치료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Halfon & Bulut, 2019; Halfon, Yilmaz & Cavdar, 2019). 상징적 체험은 복잡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치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상징은 자기 통합을 돕는 강력한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는 인지-행동적, 정신역동적, 신경생리학적 접근을 포함한 다양한 치료 전통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징적 이미지는 개인이 고통스러운 경험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역할을 하며, 창의성과 내적 강점을 발견하도록 돕는다. 이는 상실, 우울증, 학대 등 다양한 정신적 고통의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Simon, 1997).

모래놀이치료와 상징

‘World Techniques’을 창시한 Lowenfeld는 치료의 양식으로서 놀이를 강조하였는데, 이것은 그녀의 독창적인 기여였다. 그녀는 심리치료에서 놀이의 독자적 역할을 중시하였고, SPT에서 아동이 소품을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상징적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신경증에 억눌렸던 정서적 에너지를 상징놀이를 통해 해소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렇게 SPT에 상징적 접근의 가능성을 열어 놓은 Lowenfeld의 포괄적인 관점은 Kalff의 상상력을 자극하였다(Lowenfeld, 1939; Mitchell & Friedman, 1994).

Kalff는 모래상자에 표현된 상징을 보는 통찰력이 있었다(Mitchell & Friedman 1994, pp 102-103). 인간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그림이나 놀이와 같은 상징적 언어를 통해 표현하는데, 모래놀이를 하는 동안 상징적 표현을 통해 자아는 내면의 질서를 찾는 경이로운 체험에 이르게 된다. 이때 상담자가 이미지의 상징적 언어를 이해하고, 모래놀이에서 상징적으로 표현된 전이에 적절히 반응하는 것이 치료에 결정적일 수 있다. Jung이 심리치료에서 상징의 의미와 기능을 광범위하게 연구한 것처럼(김성민, 2013, pp 235-261), Kalff(1991)는 SPT에서 상징의 의미를 치료적 요인으로서 제시하였다.

상징에 대한 SPT의 임상적 접근

이부영(1986)은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상급병원의 정신건강의학과에 입원한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SPT를 처치하였다. 그는 모래놀이 작품의 상징해석이 그림이나 꿈의 상징해석과 다르지 않고, 3차원의 입체적 세계를 상징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Grubbs(1995)는 성적으로 학대 받은 아동과 일반 아동의 모래놀이 치료과정을 연구하였다. 일반 아동 그룹은 Kalff가 발견한 것처럼 분명한 변화의 패턴을 보였고, 학대 받은 아동 그룹은 더 많은 투쟁이나 갈등의 작품을 만들었고, 자신의 고통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Wound trays”를 만들었다. Grubbs의 연구는 SPT의 상징적 표현이 치료를 위한 중요한 매개임을 암시한다고 볼 수 있다.

모래놀이는 심리적 정서적으로 문제에 처한 아동과 성인의 치료에 다양하게 사용되어왔다(Sachs, 1990). 그러나 치료의 임상적 효과에 대한 검증은 주관적 연구나 개별 증례 연구가 많았다(Pearson & Wilson 2014). 또한 “놀이, 전이 그리고 상징”과 같은 치료적 요인들의 매개 효과에 대한 연구는 드물었다. 2000년대 모래놀이 집단치료를 중심으로 근거기반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면서, 치료적 요인으로서 상징이 가지고 있는 임상 효과에 대해 접근하는 몇몇 연구들이 수행되었다(Ahn, Okada, Kwak, 2024).

Flahive와 Ray(2007)은 문제행동을 호소하는 아동을 대상으로 모래놀이 집단상담의 임상효과를 검증하였다. 해당 연구는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워하는 아동들이 모래놀이의 소품과 모래를 이용하여 상징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치료적 요인에 대한 분석은 제시되지 않았다.

Lacroix et al.(2007)는 캐나다의 남아시아계 이주민 지역에 사는 아동을 대상으로 모래놀이 집단치료를 시행하였다. 이주민들은 고국에서부터 가난과 탈이주의 역경을 겪었고, SPT가 시작되기 2주 전 고국에서 발생한 비극적인 쓰나미로 심리적 고통과 불안을 겪고 있었다. 연구에 참여한 아동들은 다양한 소품을 사용하여‘죽음’이나 ‘역경’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소방관, 힌두교의 신과 같은 소품을 구조대원, 혹은 구원자로 등장시켜 비극적 재난과 불안을 제어하는 상징적 체험을 연출하였다.

Yeh et al.(2015)는 911 공격 동안 대피했던 초등학생에게 모래놀이 집단치료를 시행한 후 아동들 각각의 Sandplay picture를‘상처와 치유’의 주제로 분석하였다. Yeh의 연구팀은 토론을 통하여 다문화, 다인종 아동에게 맞는 다양한 소품과 911공격과 관련된 소품 등을 준비하였다. 아동들은 준비된 소품을 가지고 다양한 감정과 경험, 긴장, 고통, 갈등을 표현하였다. Yeh의 연구는 아동들이 다양한 소품들 가운데 선택한 특별한 소품을 가지고 상상놀이를 함께 전개하며 상징적 표현에 접근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모래놀이에서 치료적 요인으로써 상징을 매개로 한 임상적 효과에 대한 검증은 Yeh의 연구에서 제시되지 않았다.

SPT 작품 감상과 상징의 인식방법 -Okada의 계열적 이해

모래놀이 치료에서 작품을 감상하고 상징을 인식하는 방법은 치료 과정의 핵심 요소이다. Okada(1984)는 모래놀이 작품의 감상과 상징의 인식 방법으로 작품을 series로 보는 ‘계열적 이해’를 제시하였다. 계열적 이해는 단일 회기의 작품뿐 아니라 여러 회기에 걸쳐 만들어진 작품들을 연속적으로 검토하는 감상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론은 작품의 테마를 명확하게 인식하게 도와주며, 작품의 상징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안전한 인식 체계를 제공한다. 계열적 이해의 가장 장점은 상징의 의미를 하나의 개념에 도식화할 위험이나 작품의 의미를 독단적으로 단정할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여러 작품을 시간적 연속성 속에서 바라봄으로써 상징의 변화와 발전 과정을 관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내담자의 심리적 변화와 성장을 더욱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는 상징을 역동적이고 살아있는 것으로 인식하게 해주는 안전한 방법론이다.

상징적 이해는 모래놀이 상담에 표현된 상징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을 의미한다. Okada(1984)는 이러한 상징적 이해를 위해 "상담자-작품-내담자"라는 삼각관계(Triangle)를 통한 상징적 체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모래놀이치료 과정에서 생성되는 상징성은 "상담자-작품-내담자"의 삼각관계라는 역동적 구조를 통해 의미를 가진 정신적 에너지로 변환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작품에 나타난 개별 상징의 의미를 해석하는 것을 넘어, 치료적 관계와 작품이 만들어내는 전체적인 장(場)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본론

본 연구에서는 악기의 상징적 의미에 대하여 문헌 연구를 탐색해 보고, Okada의 작품 감상과 상징적 인식방법인‘Series(계열적 이해)’를 기반으로 개별 사례의 모래놀이 작품에 나온 악기의 상징적 의미를 탐구해 보고자 한다.

악기 상징의 문헌적 의미

악기 상징의 문헌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성경에는 악령에 사로잡혀 정신없이 떠들어대는 사울을 치료하기 위해 다윗이 수금을 타는 모습이 나온다(사무엘 상 18:10). 사울과 다윗의 이야기에서 악기는 심리치료의 한 방법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축제와 결혼식에서 피리를 불어 사람들의 흥과 즐거움을 돋우었고(열왕기 상 1:40), 장례식에서는 구슬픈 피리 소리로 애도의 마음을 표현했다(마태 9:23). 결혼식과 같은 축제에서의 악기는 즐거움을, 장례식에서 악기는 슬픔의 감정을 표현한다.

동서양의 신화에선 악기는 신묘한 물건이었으며, 신들이 인간에게 선물한 것으로 원시사회로부터 동서 문명의 종교는 종교적 체험과 밀접한 음악적 체험을 발전시켜 왔다(조수철, 2010). 여기서 음악-악기는 신화적 신비성과 종교적 초월성의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그리스 신화 Argo Expedition에는 Siren의 음악 소리에 사로잡힌 선원들을 Orpheus가 연주를 통해 구해주는 장면과 Orpheus의 연주가 지옥문을 지키는 Cerberus를 진정시키고, Hades를 감동시키는 장면이 나온다. Argo Expedition 신화에서 악기는 감정과 욕망을 자극하기도 하고 진정시키기도 하는 도구이다(Pierre, 1951). 또한 Odysseus가 Siren의 노래를 들었을 때 전쟁과 방랑의 20년으로 잃어버린 고향을 느꼈을 것이라고 한다(박윤경, 2014). Odysseus에게 Siren의 목소리는 상실감과 ‘망망대해 같은 느낌’-Oceanic Feeling- 혹은 죽음의 충동을 자극하는 힘으로써, 악기(음악소리)는 모성, 출생, 죽음에 대한 상징적 의미를 가지게 된다(Chessick, 2021). 또한 소리의 흐르는 특성은 물과 공기의 특성, 그리고 여성성과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조수철(2010)은 음악과 심리학의 관계를 Biological, Psycological, Social, Spiritual 방법에서 접근하였는데, 조화와 균형을 음악의 기본적인 특성으로 보았다.

이처럼 악기에는 1. 치유와 치료, 2. 즐거움과 슬픔 등 감정의 표현, 3. 욕망의 자극과 진정, 4. 죽음의 충동과 유아적 퇴행의 유도, 5. 물과 공기처럼 흐르는 여성성의 특성, 6. 조화와 균형의 질서 등등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모래놀이작품에 나온 악기의 상징적 의미

본 사례의 내담자는 고등 2학년 여학생으로 건강염려가 심하며 구토 등의 신체 증상으로 학교에서 급식을 먹지 않았다. 또한 초6~중2까지 커터칼로 스케치하듯 손목 긋기의 자해 경험이 있으며, 높은 자살 사고로 옥상, 욕조 물에 들어가기 등의 시도가 있었다. 내담자는 낮은 자존감과 대인관계의 위축, 소외감이 심했으며 우울과 불안으로 진단 받고 2개월간 처방약을 복용하기도 하였다.

SPT 과정에서 자신이 제작한 모래작품을 설명할 때는 목소리가 작아 전달력이 떨어지기도 하였다. 하지만 SPT가 진행되면서 또렷한 발음으로 자신이 만든 모래작품을 명확하게 설명하며, 적당한 목소리 크기로 전달력에 문제가 없었다. 총 20회기의 심리상담이 진행되었으며 15개의 모래놀이 작품이 제작되었다. 15회기의 모래놀이 작품 중 6개의 작품에 악기가 나온다.

[그림 1]은 1회기의 작품으로 4계절을 표현한다. 상자의 오른쪽 하단(내담자 가까운 쪽 모서리)에 기타와 피아노가 있다. 하지만 내담자는 이 작품에서 악기의 역할이나 의미에 대해 별도의 언급을 하지 않았다.

scs-7-1-1-g1
Picture 1. Session 1
Download Original Figure

[그림 2]는 3회기의 작품이다. 내담자는 ‘중앙에서 소녀가 피아노를 치고 있어요. 숲속에 있는 이곳은 다른 사람들은 모르는 비밀의 장소로 혼자만의 공간이에요.’라며 작품을 설명한다.

scs-7-1-1-g2
Picture 2. Session 3
Download Original Figure

[그림 3]은 7회기의 작품이다. 내담자는 ‘조잡한 듯하며 외로운 느낌이에요. 그네를 타는 사람은 20세인데 행복하긴 한데 씁쓸해요. 나 같기도 하고. 비 맞으며 일탈을 원하는 것 같아요. 잔잔한 음악(하프)이 흐르고 있어요. 무지개는 예쁜 음악이 흐른다는 것을 표현한 것이에요. 학교에 친구가 생겼어요.’라며 표현한다. 작품에 대해 이야기 해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모래상자의 왼쪽 하단(내담자 가까운 쪽)에 하프가 있고 그 옆의 무지개가 하프에서 흘러나오는 음악을 표현한 것이다.

scs-7-1-1-g3
Picture 3. Session 7
Download Original Figure

[그림 4]는 15회기 마지막 작품이다. 내담자는 ‘마지막 곡을 노래하기 직전에 곡을 소개하고 있어요. 따뜻한 느낌이에요. 나와 나의 연주단이에요. 노래를 많이 해서 약간 지치기도 했지만 끝까지 잘 해 낼거에요. 진주는 무대 조명이에요. 가족들과 친구들이 나의 공연을 보러 왔어요. 여행을 갔었던 커플도 이제 막 도착해서 공연을 보러 왔어요.’라며 작품을 소개한다.

scs-7-1-1-g4
Picture 4. Session 15
Download Original Figure

[그림1]은 내담자의 첫 작품이다. 내담자는 중심을 잡으며 4계절을 작품으로 표현한다. 모래상자의 오른쪽 하단(내담자의 앞)에 기타와 피아노는 4계절의 색을 표현하기 위한 구성품으로 그 소리를 내지는 못하고 있다. 하지만, 치료의 초기에 ‘치유’라는 악기의 상징적 의미를 치료적 예후처럼 내포하거나, 치료를 시작하는 내담자의 즐거움이나 기대를 비언어적으로 암시할 수 있다.

[그림 2]는 3회기의 작품으로 내담자는 나만의 비밀의 숲에서 피아노를 연주한다. 혼자만의 공간에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 시작한다. 모래작품들에서 악기는 치유, 감정, 욕망, 죽음, 퇴행, 여성성, 조화와 같은 여러 상징적 의미를 작품과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내포할 수 있다. 첫 작품에서 악기는 치유의 시작을 상징적으로 내포하였다면, 점차 자신의 감정을 탐색하고, 표현하기 시작한다. 이처럼 내면의 욕망이나 갈등을 악기를 통해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자각하는 것은 SPT의 치료적 과정을 촉진할 수 있다.

[그림 3]은 7회기의 작품이다. 외롭고 씁쓸해하는 주인공은 하프 연주로 위로받으며 성장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 때에 내담자는 학교 생활에서 1-2명의 친구들과 이야기했고, 학교에서 급식을 먹지 못했던 내담자에게 새로운 친구들이 생기기 시작했다. 상자의 왼쪽 하단(내담자 가까운 쪽)에 하프가 놓여 있고, 하프소리가 흐르는 것을 무지개로 표현했다. 소리의 흐르는 특성은 물이나 모래의 특성이면서 여성성과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또한 Odysseus에게 Siren의 목소리는‘망망대해 같은 느낌’-Oceanic Feeling- 혹은 죽음의 충동을 자극하는 힘으로써, 악기(음악소리)는 모성, 출생, 죽음에 대한 상징적 의미를 내포했는데, 이 작품 다음 회기인 작품 8에서 내담자는 큰 제단을 쌓고 죽음의 테마를 표현하였다.

[그림 5]은 8회기 작품으로, 상자의 왼쪽에 큰 관에는 병으로 죽은 왕이 누워있다. 그는 본성이 나쁘지 않았지만, 감정이 없다는 평을 들었고, 사람들은 그가 죽기를 바랐다. 내담자는 이곳이 ‘지하 공간이고, 어둡고 축축하고, 조용하면서, 뭔가 신성한 비현실적인 느낌이 든다’고 한다.

scs-7-1-1-g5
Picture 5. Session 8
Download Original Figure

SPT의 치료과정에서 죽음의 테마(Lacroix, 2007), 상처의 테마(Grubbs, 1995),‘proto-system’과 같은 원형적 테마(Lowenfeld, 1954)는 Kalff가 발견한 것처럼 변화의 분명한 전환점을 보여준다. ‘치유, 감정, 욕망, 죽음, 여성성, 조화’와 같은 악기의 상징적 의미의 변화 또한 SPT의 치료 과정의 전환을 분명하게 제시할 수 있다.

[그림 4]는 15회기로 마지막 작품이다. 내담자는 ‘나와 나의 연주단’의 연주에 맞추어 자신의 감정을 소리로 표현하는 가수가 되었다. 가수는 균형을 잡고 조절하며 자신의 소리를 만들어 낸다.

심리상담이 끝날 즈음 내담자의 주호소였던 대인관계 및 내적 갈등과 자해 등의 문제행동, 높은 자살 사고 등의 부정적 정서 문제는 더 이상 나타나지 않았다. 내담자는 친구들의 관계 및 가족들 간에 생기는 갈등 등에 위축되지 않으며,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며 대처해 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SPT 과정에서 나온 악기의 상징적 의미와 그 변화를 Okada의 계열적 이해를 기반으로 개별 사례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모래놀이치료 과정에서 악기가 지니는 다양한 상징적 의미가 내담자에 의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정리하면 [그림 6] 「상징의 계열적 이해」과 같이 5단계로 정리된다.

scs-7-1-1-g6
Picture 6. 상징의 계열적 이해
Download Original Figure

1단계는 비언어적 암시의 단계이다. 1회기에 내담자는 4계절을 표현하며 피아노를 배치했지만 이 악기들은 소리를 내지는 못하며 내담자 또한 이것에 대한 언급이 없다. 악기는 치유라는 상징적 의미를 내포하면서 이를 비언어적으로 암시한다.

2단계는 상징적 의미의 탐색 단계이다. 3회기에 내담자는 '비밀의 숲'에서 한 소녀가 피아노를 연주하는 장면을 표현한다. 이 단계에서 내담자는 혼자만의 안전한 공간에서 자신의 감정을 탐색하고 표현하기 시작한다. 첫 작품에서 치유의 가능성을 암시하던 악기는 이제 내면의 감정을 표현하는 도구로 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연주하는 주인공은 아직 내담자 자신이 아니고 어떤 소녀이다.

3단계는 상징적 의미의 체험 단계이다. 7회기에서 내담자는 외로운 주인공이 하프 연주로 위로받으며 성장하는 장면을 표현한다. 이 시기에 내담자는 실제 생활에서도 새로운 친구 관계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하프 소리를 무지개로 표현했는데, 이 소리를 통해 위로 받고있는 것은 어떤 사람이 아니라 ‘나’자신이다. 치료의 중기로 접어들며 내담자는 악기를 통한 위로와 성장의 상징적 체험을 표현하기 시작한다.

4단계는 테마 전환의 단계이다. 8회기에서 내담자는 왕의 죽음을 표현하며 중요한 심리적 전환점을 맞이한다. 내담자는 이 공간을 "지하 공간이고, 어둡고 축축하며, 조용하면서 신성하고 비현실적인 느낌"으로 묘사한다. 이는 SPT 과정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나타내는 죽음의 테마(Lacroix, 2007)를 보여준다.

5단계는 정신적 에너지화의 단계이다. 마지막 작품에서 내담자 자신이 주인공이 되어 ‘나와 나의 연주단’과 함께 감정을 소리로 표현하는 가수로 변모한다. 가수는 균형을 잡고 자신의 소리를 조절하며 만들어 내는데, 이는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음을 상징한다. 또한 치료 초기 비언어적 암시로 내포된 치유의 상징적 이미지는 탐색과 체험을 거쳐 이제 자신의 에너지로 전환된다.

논의 및 결론

SPT는 상징적 이미지를 표현하는 다양한 소품들로 구성되어 있다(Bratton & Feerebe, 2009). SPT는 내담자에게 감정적으로 중요한 경험을 표현할 수단으로 상징을 제공하고, 상징은 위협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문제를 표현하고 재현할 기회를 준다(Goss & Campbell, 2004).

SPT에서 상징이 치료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은, 대극의 통합과 변환이라는 상징의 심리학적 의미(Kalff, 1991)뿐만 아니라, 3차원으로 제작될 수 있는 ‘상징적 표현’의 효과(이부영, 권택술, 1986)와 ‘상징적 체험’을 통한 전이-역전이의 역동(Okada, 1984,pp 89-95), 즉 치료자와 환자 사이의 상호작용(Castellana & Donfrancesco, 2005)에 기반한 ‘상징적 관계’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앞서 문헌을 통해 살펴본 바에 의하면 악기에는 1. 치유, 2. 감정, 3. 욕망, 4. 죽음 혹은 퇴행, 5. 여성성, 6. 조화 등등 다양한 상징적 의미가 내포될 수 있다.

모래놀이치료에서 악기는 즐거움과 슬픔과 같은 감정 표현의 상징이다. SPT의 초기 단계에서 악기를 통해, 치료에 대한 관심과 놀이를 시작하는 즐거움을 상징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악기는 죽음과 퇴행을 상징한다. SPT의 중기단계는 투쟁과 갈등, 내면의 어둡고 부정적인 것이 표출되는 단계이다. 전쟁과 죽음, 검고 어두운 소품들이 많이 등장하는 단계를 앞두고 출현하는 악기들은 유아적 퇴행과 죽음의 충동이라는 ‘Siren의 음악’으로 상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악기는 조화와 여성성을 상징한다. 치료의 전환을 보이는 어둡고, 부정적인 죽음과 전쟁의 단계는 내적 갈등의 표출이라는 긴장이 조성된다. 이 과정에서 균형과 조화를 상징하는 악기를 통해 내담자는 제어하고 통합하는 상징적 체험을 이룰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는 악기의 상징적 의미 변화가 SPT의 치료 과정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제시하는 방식을 고찰하였다. 악기가 지닌 상징적 의미는 치료 과정에 따라 초기 '치유의 시작'에서 '감정 표현', 모성과 죽음의 ‘체험’의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자기 표현과 통합'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악기는 치료가 진행되는 회기를 거치면서 내담자에게 ‘비언어적 암시’에서 '탐색‘과‘체험'의 단계를 거쳐‘정신적 에너지’로 확장되었다.

SPT 치료 과정에는 Kalff가 말한 ‘동,식물의 단계-투쟁의 단계-통합의 단계’와 같은 전환의 순간이 극적으로 표현되기도 하며, 죽음의 테마와 상처의 테마(Grubbs, 1995), 원형적 테마(Lowenfeld, 1954)와 같은 중요한 심리적 전환점들이 작품을 통해 뚜렷하게 나탈 수 있다. Okada의 계열적 이해를 기반으로 개별 사례를 분석한 것에 의하면 악기의 상징적 의미의 변화는 SPT의 치료 과정에서 내담자의 심리적 성장과 치유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본 연구는 악기의 상징적 의미가 치료 과정에서 다양하게 표현되고, 치료적 전환으로 바뀌는 것을 개별 사례의 작품을 통해 탐색하였다. 이는‘만다라, 통합, 영웅의 모험, 입문식’ 등 치료적 효과가 있다고 언급된 SPT의 상징적 테마들처럼 악기의 상징적 의미 또한 치료적 테마를 이루고 있음을 탐구한 새로운 시도이며, 또한 모래놀이치료에서 악기의 상징성을 다룬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치료자로 하여금 치료과정에서 보이는 치료적 전환의 새로운 지표를 탐색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악기의 상징적 의미를 문헌과 개별사례를 통해 분석하였기에 개별적 임상효과의 근거가 부족하며, 보편화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향후 모래놀이치료에서 악기의 상징적 의미 변화가 치료에 미치는 과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Notes

본연구에서 ‘모래놀이치료’의 개념적 정의는 Lowenfeld의 ‘World Techniques’과 Kalff의 ‘Sand Speil’의 영어인 ‘Sandplay Therapy’를 모두 포함한다.

본 사례는 KASS 전문가 허미옥의 사례이다. 치료자 및 내담자의 동의를 구하고 악기 상징을 소개한다.

참고문헌

1.

김성민(2013). Symbolism of C. G. Jung: The Unconscious and Religious Symbol. Korean Journal of Christian Studies,85(1),235-26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37222

2.

김성민. (2014). 분석심리학과 종교. 서울: 학지사.

3.

박문희, 안운경. (2021). 모래놀이치료의 상징적 인식방법에 대한 고찰. 학교상담 및 모래놀이, 3(2), 85-97.

4.

박윤경. (2014). 신화를 그린 작품: 사이렌, 음악에 관한 욕망과 초월의 담화. 음악사연구, 3, 74-93.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3277281

5.

이부영, 권택술 (1986) A Trial of Sandplay Therapy for the Korean Adult Psychiatr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atric Association,25(1), 136-153 http://www.riss.kr/link?id=A105245521

6.

조수철 (2010). 음악과 심리학.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0(1), 135-152 https://www.koreanpsychology.or.kr

7.

Ahn, U. K., Yasunobu, O., & Kwak, H. J. (2024). Overview: The beginning and Development of SP group therapy.(A Study on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in SP Group Therapy). School Counselling and Sandplay, 6(1), 1-17.

8.

Bratton, S. C., Ceballos, P. L., & Ferebee, K. W. (2009). Integration of structured expressive activities within a humanistic group play therapy format for preadolescents. The Journal for Specialists in Group Work,34(3), 251-275.

9.

Castellana, F., & Donfrancesco, A. (2005). Sandplay in jungian analysis Matter and symbolic integration. Journal of Analytical Psychology, 50(3), 367-382

10.

Chessick, R. D. (2021). The “oceanic feeling” and confrontation with death. Journal of the American Psychoanalytic Association, 69(3), 513-534.

11.

Dow, J. (1986). Universal aspects of symbolic healing: A theoretical synthesis. American anthropologist, 88(1), 56-69.

12.

Eliade, M. (1998). Image et Symboles (Lee Jaesil Trans.). Soul: KaChi publisher.

13.

Flahive, M. H. W., & Ray, D. (2007). Effect of group sandtray therapy with preadolescents. The Journal for Specialists in Group Work, 32(4), 362-382.

14.

Freud, S. (1931). The Interpretation of Dreams. READ BOOKS LTD. Korean Trans (2006). The Interpretation of Dreams,Openbooks. p 416-419,427-443.

15.

Goss, S., & Campbell, M. A. (2004). The value of sandplay as a therapeutic tool for school guidance counsellors. Journal of Psychologists and Counsellors in Schools, 14(2), 211-220.

16.

Grubbs, G. A. (1995).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andplay process of sexually abused and nonclinical children. The Arts in Psychotherapy, 5(22), 429-446.

17.

Halfon, S., & Bulut, P. (2019). Mentalization and the growth of symbolic play and affect regulation in psychodynamic therapy for children with behavioral problems. Psychotherapy Research, 29, 666 - 678.

18.

Halfon, S., Yılmaz, M., & Çavdar, A. (2019). Mentalization, session-to-session negative emotion expression, symbolic play, and affect regulation in psychodynamic child psychotherapy. Psychotherapy, 56(4), 555.

19.

Jung, C. G., Franz, M. v., Henderson, J. L., Jacobi, J., & Jaffe, A. (2013). Man and His Symbols (Lee bu young Trans.). Seoul: Jeepmoon Dang

20.

Kalff, D (1991). Introduction to Sandplay Therapy. Journal of Sandplay Therapy. 1(1). https://www.scribd.com/document/639678510/Sandplay-Kalff-Introduction-to-Sandplay-Therapy

21.

Klein, M. (1935). The Importance of Symbol-Forma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 Ego.The Psychoanalytic Review (1913-1957),22, 76.

22.

Kirmayer, L. (1993). Healing and the invention of metaphor: The effectiveness of symbols revisited. Culture, Medicine and Psychiatry, 17, 161-195.

23.

Lacroix, L., Rousseau, C., Gauthier, M. F., Singh, A., Giguère, N., & Lemzoudi, Y. (2007). Immigrant and refugee preschoolers’ sandplay representations of the tsunami. The Arts in Psychotherapy, 34(2), 99-113.

24.

Lowenfeld, M. (1939). The World Pictures Of Childeren: A method of recording and studying them.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18(1), 65-101. https://psycnet.apa.org/record/1939-03897-001

25.

Lowenfeld, M. (1954). The Lowenfeld World Technique. Memorandum from the Institute of Child Psychology, 6.https://lowenfeld.org/wp-content/uploads/2018/10/Description-of-the-World-Technique.pdf

26.

Mitchell, R. R., & Friedman, H. S. (1994). Sandplay past, present & future. London: Routledge Press. Korean Translation(2016) (Song Yeonghye, Trans) SandPlay: Past, present, and future. Soul: SigmaPress. p31, pp102-103.

27.

Okada Yasunobu. (1984). 箱庭療法の基礎. 誠心書房, 東京, pp,89-95.

28.

Pearson, M & Wilson, H (2014), The evolution of sandplay therapy applications, Psychotherapy in Australia, 21(1), 94-100 https://search.informit.org/doi/abs/10.3316/informit.735536558578236

29.

Pierre G. (1951) Dictionaire de la Mythogogie Grecque et Romaine. Korean Translation, (2003). Greek Roman mythology dictionary, The open Books CO. 211-212

30.

Sachs, R. G. (1990). The sand tray technique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dissociative disorders: recommendations for occupational therapist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4(11), 1045-1047

31.

Simon, R. M. (1997). Symbolic images in art as therapy. Psychology Press.

32.

Yeh, C. J., Aslan, S. M., Mendoza, V. E., & Tsukamoto, M. (2015). The use of sandplay therapy in urban elementary schools as a crisis response to the world trade center attacks. Psychology Research, 5 (7), 413-427. https://repository.usfca.edu/cgi/viewcontent.cgi?article=1025&context=soe_f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