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hool Counselling and Sandplay
Korean Association of School Sandplay
Research Article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자해경험이 있는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자해 기능, 자살사고에 미치는 효과: 예비연구

전문주1, 이호경2, 안운경3,
Moon-Ju Jeon1, Ho-Kyung Lee2, Un-Kyoung Ahn3,
1김포시정신건강복지센터 임상심리사
2온양권곡초등학교 전문상담사
3한국학교공공상담협회 공공상담교육연구원
1Gimpo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2Onyang Kwongok Elementary School
3Korean Association of School Sandplay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 안운경, (31198)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청수 15길 6-1, 한국학교공공상담협회, E-mail : hanpath@gmail.com

© 2023 Korean Association of School Sandplay.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Jun 04, 2023; Revised: Jul 01, 2023; Revised: Aug 05, 2023; Accepted: Aug 28, 2023

Published Online: Aug 28, 2023

요약

본 연구는 자해 경험이 있는 초등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자아개념, 자해 기능, 자살사고 측면에서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충남 아산시 소재 A초등학교 재학생 중 Wee클래스 상담에서 자해 경험을 보고한 학생 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2021년 9월부터 11월까지 총 10회기의 집단상담을 실시하였다. 집단상담의 효과검증을 위해 한국판 소아 자기개념척도(PHCSS), 한국판 자해 기능 평가지(FASM), 한국판 청소년 자살사고설문지(SIQ-JR)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으며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Wilcoxon signed-ranks test를 실시하고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자해 기능의 자해 빈도(z=-2.207, p=.027, Cohen's d=0.14)와 내적 동기 척도(z=-2.032, p=.042, Cohen's d=1.15)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자해 빈도를 감소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for school sand play in terms of self-concept, self-injury function, and suicide ide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self-injury experience. Among the students of A Elementary School in Asan-si, six students who reported their self-injury experiences in Wee-class counseling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e study, and a total of 10 group counseling sessions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1.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group counseling, Piers-Harris Children′s Self-Concept Scale-Korean Version (PHCSS),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Self-Mutilation-Korean Version (FASM), and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JR-Korean Version (SIQ-JR)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and Wilcoxon signed-ranks test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and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cale of self-injury frequency(z=-2.207, p=.027, Cohen's d=0.14) and internal motivation(z=-2.032, p=.042, Cohen's d=1.15) of the self-Mutilation func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hool sand play group counseling can be an effective way to reduce self-injury frequency.

Keywords: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 자아개념; 자해 기능; 자살사고; 초등학생
Keywords: school sand play group counseling; self-concept; self-injury function; suicide ideation; elementary school student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2021)에 의하면 전국의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및 사이버 상담센터에 보고된 자살·자해 상담 건은 2015년 1,456건에서 2020년 7,860건으로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다. 자해를 처음 시작하는 시기는 평균 12세에서 14세로 청소년기에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이며(Laye-Gindhu, & Schonert-Reichl, 2005), 국내 자료에 의하면 한국 청소년의 자해 경험이 22.8%로 미국(14%), 중국(17%), 영국(10%) 등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심영주, 2019).

자살 관련 통계자료에 의하면, 2021년 국내 10-19세 연령대의 사망 원인 중 자살이 가장 높았다(통계청, 2022). 또한, 질병관리청(2022)은 최근 1년간 자살사고를 경험한 학생을 12.7%로 보고하였다. 따라서, 국내 아동·청소년의 자해 및 자살사고는 심각한 문제이며 관련 연구의 중요성이 시사된다.

자해·자살의 관련 요인은 인지, 정서적 측면에서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다. 자해 연구에 따르면, 분노와 불안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자해 빈도가 높았으며(권혁진, 2014), 자기 비난, 반추, 파국화 등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 조절은 자해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유현주, 2022). 자살 연구에서는 우울, 학업 부담, 학교 폭력, 가정 폭력, 빈곤 가정, 양육 불안정, 음주·흡연 등 비행과 물질 사용이 자살 충동과 관련 있었다(오혜진, 최희철, 2018; 이승우, 남재성, 2021).

자아개념도 자해·자살의 관련 요인으로 보고되었다. 자아개념은 자신에 대해 가지는 관점, 관념 또는 태도의 독특한 체계이다(이규숙, 2021). 연구에 의하면 자살사고와 자아개념의 부적상관이 보고되었으며, 자해 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보다 자기비판, 자기비하가 더 높았고 자존감이 낮았다(Damle & Dabir, 2019; Hodgson, 2004). 특히, 아동기는 자신에 대한 기본적 개념을 형성하는 시기로서 중요하며,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은 아동으로 하여금 행복한 삶을 영위하게 한다(백형갑, 2008; 오나솔, 2020). 따라서 자해·자살사고를 경험하는 아동에 있어 자아개념은 함께 고려해야할 요인일 수 있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아동·청소년 대상 모래놀이치료 이후 자아개념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김수미, 2011; 김진안, 2012). 또한, 자살사고를 가진 청소년 대상으로 모래놀이치료를 실시한 결과 자살사고가 감소한 연구가 있다(안운경, 곽현정, 2022). 이처럼, 아동의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 및 자살사고 감소를 위해 모래놀이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자해 행동을 경험한 국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모래놀이치료를 실시한 연구는 소수이며(신혜진, 이명복, 2021) 자아개념과 자해, 자살사고를 함께 살펴본 연구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자해경험을 보고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자아개념, 자해기능, 자살사고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 1>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자해 경험이 있는 초등학생의 자아개념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

<가설 2>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자해 경험이 있는 초등학생의 자해 빈도를 감소시킬 것이다.

<가설 3>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자해 경험이 있는 초등학생의 자살사고를 감소시킬 것이다.

방 법

연구대상 및 절차

충남 아산시에 소재한 A 초등학교 재학생 중 Wee클래스 상담에서 자해경험이 보고된 학생 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남자 2명(33.3%), 여자 4명(66.7%)으로 평균 연령은 만 10.83±0.4세였다(표1). 자해 내용으로는 1명은 문구용 커터칼을 이용하여 자해를 하여 상흔이 확인되었고 나머지 인원은 머리찍기, 머리카락 뽑기, 자기 신체 때리기, 꼬집기 등 피부의 표피가 절개되지 않고 출혈이 약하며 봉합 등 의료적 처치를 요하지 않는 수준이었다. 담임교사, 관리자 등 학교 운영진들과 연구진이 집단상담에 대한 회의를 하였으며 학부모 및 학생들의 참여 동의를 받았다.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은 2021년 9월부터 11월까지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운영은 주 1회, 회기별 40분으로 구성되었고 3명을 한 그룹으로 2개 그룹이 지정된 요일, 지정된 시간에 진행되었다. 각 조의 구성원들은 자신의 모래상자를 조원에게 보여주고 함께 감상하며 상자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상담자는 심리학 석사로 모래놀이 임상 3,000시간 이상의 전문상담자 1인, 8,000시간 이상의 전문상담사 1인과 심리학 박사로 모래놀이 임상 20,000시간 이상의 분석가가 1인이었다.

표 1.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집단 N(%) 나이
평균 표준 편차 범위
실험 집단 2(33.3) 4(66.7) 10.83 0.40 10~11
Download Excel Table
연구 설계 및 프로그램 내용

본 연구에서는 자해경험을 보고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을 진행하고 자아개념, 자해 기능, 자살사고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 사후 검사설계(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로 구성하였고 설계는 표 2와 같다.

표 2. 연구설계
하위요인 사전 실험처치 사후
실험집단 O1 X O2
Download Excel Table

프로그램 구성은 곽현정, 안운경, 한길자, 임명호(2018)의‘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의 프로그램 구성 원칙’을 참고하였다. 프로그램의 회기별 내용은 표 3과 같고 진행방식은 표 4와 같다.

표 3.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 프로그램 내용
회기 흐름 프로그램의 내용
1 접촉 자유롭게 떠오르는 감정 표현
2 탐색1 감정 분노, 즐거움, 짜증, 행복 등 기본 감정을 느끼고 표현
3 탐색2 기억 상처 겪었던 사건 및 상황을 떠올리고 당시 느낀 밑 감정 표현
4 움직임1 갈등 투쟁 투쟁, 갈등 등 부정적 정서 표현
5 움직임2 영웅 역경 및 고난에 맞서는 영웅 표현
6 수용1 관계 가족을 생각하며 떠오르는 감정 표현
7 수용2 관계 친구를 생각하며 떠오르는 감정 표현
8 움직임3 선택 과거, 현재, 미래의 나의 모습 표현
9 내 마음의 중심 마음의 중심, 보물 표현
10 탄생 미래의 성장하고 성숙한 ‘나’표현
Download Excel Table
표 4.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 프로그램 진행과정
진행 내용 시간
도입 •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 설명(1회기)
•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 시 약속 (중간 회기 마다)
- 조원의 작품 만지거나 방해하지 않기
- 조원의 작품 설명 시 경청
- 긍정적인 말로 지지
• 눈을 감고 모래를 만지며 감정과 접촉
- 오늘의 주제 떠올리기
5분
활동 • 소품장 탐색
• 자유롭게 자신의 모래상자 꾸미기
- 상담자는 집단원의 활동을 관찰 및 기록
15분
나눔 • 각자 자신의 상자 소개
- 조원의 상자에 대한 긍정적 피드백
- 상담자는 학생의 상자 설명을 듣고 간단한 질문과 메모
• 학생이 퇴장한 후 상담자는 사 진 촬영 및 상담 기록지 작성
20분
Download Excel Table
측정도구

한국판 소아자기개념척도(Korean Piers-Harris Children′s Self-Concept Scale: PHCSS). Ev (1984)가 개발한‘아동 자기개념 척도’를 바탕으로 김병로 등(1994)이 번안한‘한국판 소아자기개념척도’를 사용하였다. 총 80문항의 6점 Likert 척도로 되어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개념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 척도는 행동, 지적 및 학업상태, 신체적 외모 및 특성, 불안, 인기도, 행복과 만족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적합치도(Cronbach's α)는 .92이다(김병로 등, 1994).

한국판 자해 기능 평가지(Korean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Self-Mutilation: FASM). Lloyd 등(1997)가 개발한 원판을 권혁진, 권석만(2017)이 번안한‘한국판 자해기능 평가지’를 사용하였다. 총 39문항의 7점 Likert 척도로 되어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요인 빈도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 척도는 자해 방법 및 빈도, 자해 행동 요인, 자해 목적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해 목적은 사회적 동기와 개인 내적 동기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해 빈도, 자해 목적을 측정하였다(자해시 약물 복용 여부의 문항을 포함한 자해 행동 요인은 연구 참여 연령 고려하여 제외). 자해 목적의 내적합치도(Cronbach's α)는 .80이다(권혁진, 권석만, 2017).

한국판 청소년 자살사고질문지(Korean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JR: SIQ-JR). Reynolds와 Mazza(1999)이 개발한 원판을 이영식 등(2004)가 번안한‘한국판 청소년 자살사고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총 15문항으로 자살사고의 빈도에 따라 각 문항당 0점(전혀 없었다)에서 6점(매일 있었다)까지의 Likert 척도로 되어있다. 문항의 예로는‘죽는 게 차라리 낫다는 생각을 하곤 했다’,‘자살에 대한 생각을 하곤 했다’등이 있다.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인구통계학적 분석을 위해 기술 통계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모래놀이 집단상담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비모수 검증인 Wilcoxon signed-ranks test를 실시하고 Cohen's d를 산출하였다.

결 과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자해경험을 보고한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자해 기능, 자살사고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Wilcoxon signed-ranks test를 실시하고 Cohen's d를 산출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먼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인 척도는 자해 기능 평가의 자해 빈도와 내적 동기 척도였다. 자해 빈도는 사전 평균점수 71.67에서 사후 평균점수 59.26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z=-2.207, p=.027, Cohen's d=0.14). 또한, 내적 동기는 사전 평균점수 25.93에서 사후 평균점수 5.56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z=-2.032, p=.042, Cohen's d=1.15). 반면, 사회적 동기는 사전 평균점수 6.94에서 사후 평균점수 2.78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z=-0.948, p=.343, Cohen's d=0.42). 그 외에 자기개념 관련 척도와 자살사고 척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세부적으로는 자기개념 총점은 사전 평균점수 51.65에서 사후 평균점수 50.76으로 나타났다(z=-.405, p=.686, Cohen's d=-0.10). 자기개념의 하위요인인 불안은 사전 평균점수 50.82에서 사후 평균점수 52.12로 나타났다(z=-.677, p=.498, Cohen's d=-.04). 외모는 사전 평균점수 44.47에서 사후 평균점수 46.29로 나타났다(z=-.966, p=.334, Cohen's d=-0.11). 행동은 사전 평균점수 63.81에서 사후 평균점수 55.59로 나타났다(z=-1.483, p=.138, Cohen's d=0.49). 인기는 사전 평균점수 61.60에서 사후 평균점수 62.31로 나타났다(z=-.136, p=.892 , Cohen's d=-0.03). 행복은 사전 평균점수 46.57에서 사후 평균점수 44.79로 나타났다(z=-0.108, p=.914, Cohen's d=0.27). 학업은 사전 평균점수 42.47에서 사후 평균점수 45.17로 나타났다(z=-1.095, p=.273, Cohen's d=-0.04). 자살사고는 사전 평균점수 71.67에서 사후 평균점수 59.90으로 나타났다(z=-1.625, p=.104 , Cohen's d=0.33).

표 5. 자기개념, 자살사고, 자해기능의 사전후 결과
구분 (N=6) 평균 표준 편차 z p Cohen's d
자기 개념 총점 사전 51.65 9.357 -0.405 .686 0.10
사후 50.76 7.488
불안 사전 50.82 8.914 -0.677 .498 -0.04
사후 52.12 6.640
외모 사전 44.47 10.667 -0.966 .334 -0.11
사후 46.29 7.903
행동 사전 63.81 19.239 -1.483 .138 0.49
사후 55.59 9.809
인기 사전 61.60 10.987 -0.136 .892 -0.03
사후 62.31 4.596
행복 사전 46.57 11.471 -0.108 .914 0.27
사후 44.79 12.653
학업 사전 42.47 16.774 -1.095 .273 -0.04
사후 45.17 14.132
자살 사고 사전 71.67 10.989 -1.625 .104 0.33
사후 59.90 18.976
자해 빈도 사전 71.76 55.233 -2.207 .027 0.14
사후 59.26 51.210
사회적 동기 사전 6.94 8.707 -0.948 .343 0.42
사후 2.78 4.501
내적 동기 사전 25.93 19.458 -2.032 .042 1.15
사후 5.56 11.111

p<.05,

p<.01

Piers-Harris Children′s Self-Concept Scale: PHCSS 자기개념총점, 불안, 외모, 행동, 인기, 행복, 학업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JR: SIQ-JR 자살사고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Self-Mutilation: FASM 자해 빈도, 사회적 동기, 내적 동기

Download Excel Table

논 의

본 연구는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자해경험을 보고한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자해 기능, 자살사고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주요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래놀이 집단상담 이후 자아개념 총점 및 하위척도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국내 아동, 청소년 대상으로 모래놀이상담 이후 자아개념의 긍정적 변화가 나타난 연구가 있으나, 불안이나 비행 행동을 보이거나 특정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로 본 연구 대상자와 차이가 있다(김수미, 2011; 김진안, 2012; 한유진, 김미연, 최죄경, 2020). 하지만 본 연구는 자해 경험이 있는 아동 대상으로 모래놀이상담과 자아개념을 살펴본 최초 연구임에 의의가 있다. 해외 연구에서 자해 경험과 자아개념의 부적 관련성이 보고된 바(Taylor, McDonald, Smith, Nicholson, Forrester, 2019), 추후 자해 경험이 있는 아동·청소년 대상으로 모래놀이상담의 효과성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시사된다.

둘째, 모래놀이 집단상담 이후 자해 빈도척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모래놀이 상담 이후 자해 횟수가 줄어들었음을 의미하며 이전 사례연구의 결과를 지지하였다(어해룡, 2011). 또한, 자해에 대한 내적 동기 척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나쁜 기분을 멈추기 위해’,‘스스로를 처벌하기 위해’ 등 문항 포함). 이는 모래놀이 상담 이후 부정적인 사고나 정서가 감소했음을 시사하며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지하였다(박혜영, 이찬희, 2020; 전문주, 이호경, 곽현정, 2022). 따라서 집단 모래놀이 상담이 자해 행동 경험이 있는 아동의 자해 행동 감소에 효과적인 치료 방법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모래놀이 집단상담 이후 자살사고 수준은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중·고등학생들의 자살사고를 감소시킨 선행 연구와 일치하지 않는 결과이나 본 연구 참여자 연령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안운경, 곽현정, 2022). 이밖에 모래놀이상담과 자살사고에 대한 단일 사례 연구가 있으나 참여자의 보고에 의한 것이며(김지혜, 2020; 이찬희, 2020) 양적 평가를 통해 자살사고의 변화를 확인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모래놀이 상담과 자살사고에 대한 효과성 확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시사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만으로 진행된 연구로 대조집단이 구성되지 않았다. 추후 대조집단도 함께 진행하여 효과검증의 객관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사전후 양적 분석으로 효과검증이 이루어졌다. 추후에는 모래놀이상담의 상자 흐름 변화 등 질적 분석도 필요할 것이다. 셋째, 특정 지역의 학교에서 진행된 연구로 지역 및 학교의 특성이 반영되었을 수 있다. 위 한계점에도 자해경험이 있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 연구인 점과 자아개념, 자살사고, 자해 기능, 모래놀이상담을 함께 살펴본 최초 연구임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1.

권혁진(2014). 비자살적 자해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적·인지적 요인의 탐색.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3439350

2.

권혁진, 권석만(2017). 한국판 자해기능 평가지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Self-Mutilation) 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3(1), 187-205. https://www.earticle.net/Article/A356484

3.

김병로, 조수철, 신윤오(1994). 한국판 소아자기개념척도 개발. 신경정신의학, 33, 1351-1369.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50026313868

4.

김수미(2011). 사례연구: 집단모래 놀이치료가 신장이식 청소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2676961

5.

김지혜(2020). 여고생의 모래놀이치료 사례. 학교상담 및 모래놀이, 2(1), 14-28.

6.

김진안(2012). 모래놀이치료를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불안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2676940

7.

박문숙(2020). 부모의 부정적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영향 : 부모애착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순차적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5524258

8.

박혜영, 이찬희(2020). 모래놀이치료가 학교부적응 초등학생의 정서 및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학교상담 및 모래놀이, 2, 1-21.

9.

신혜진, 이명복(2021).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자해행동 초등학생의 우울, 불안에 미치는 효과. 학교상담 및 모래놀이, 3(1), 16-26.

10.

심영주(2019). 자해 상담 청소년 1년 새 3배 늘었다 … 10명 중 2명은 “자해 경험 있다".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5/29/2019052901367.html

11.

안운경, 곽현정(2022). 자살성 사건을 경험한 청소년의 Sandplay Therapy (SPT) 임상효과. 학교상담 및 모래놀이, 4(1), 25-44.

12.

어해룡(2011). 자해하는 남아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모래놀이상담연구, 7(1), 55-81.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50025434513

13.

오나솔(2020). 코다이 접근 음악치료가 다문화가정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5497168

14.

오혜진, 최희철(2018). 비합리적 신념, 자기자비, 우울의 단기 종단적 상호관계. 상담학연구, 19(1), 23-39.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123417

15.

유현주(2022). 중학생의 비자살적 자해의 특성과 요인 탐색. 평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6277161

16.

이규숙(2021). 에니어그램 워크숍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27, 28-53. https://www-dbpia-co-kr.libproxy.dankook.ac.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894756

17.

이승우, 남재성(2021).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17, 119-136.

18.

이영식, 서동수, 양석훈, 이길홍(2004). 한국형 청소년 자살사고 설문 개발.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5(2), 168-177. https://www-dbpia-co-kr.libproxy.dankook.ac.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060231

19.

이찬희(2020). 우울증을 겪고 있는 여고생의 모래놀이치료 단일사례연구. 학교상담 및 모래놀이, 2(2), 54-70.

20.

전문주, 이호경, 곽현정(2022).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정서· 행동 문제, 또래 문제,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학교상담 및 모래놀이, 4(1), 1-10.

21.

질병관리청(2022). 제17차(2021) 청소년건강행태조사. https://www.kdca.go.kr/yhs/

23.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2021). 청소년상담 이슈페이퍼(12월호). https://www.kyci.or.kr/userSite/sub05_8.asp

24.

한유진, 김미연, 최지경(2020). 집단모래놀이치료프로그램이 자기개념에 미치는 효과: 경찰단계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교정복지연구, (64), 119-143. https://www.earticle.net/Article/A370600

25.

Damle, A., & Dabir, S. (2019). Study of self-concept as a predictor of suicidal ideation among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In 8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gnitive and behavioural psychology.

26.

Ev, P.(1984). Piers-Harris children’s self-concept scale: revised manual.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https://www.slideshare.net/Elisabete27/piers-harris2-manual

27.

Laye-Gindhu, A., & Schonert-Reichl, K. A.(2005). Nonsuicidal self-harm among community adolescents: Understanding the “whats” and “whys” of self-harm.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4, 447-457.

28.

Lloyd, E. E., Kelley, M. L., & Hope, T. (1997). Self-mutilation in a community sample of adolescents: Descriptive characteristics and provisional prevalence rates.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Behavioral Medicine, New Orleans, LA. https://www.proquest.com/openview/4e9bba292ca1183d6eedf6f951ad87a0/1?pq-origsite=gscholar&cbl=18750&diss=y

29.

Hodgson, S. (2004). Cutting through the silence: a sociological construction of self-injury. Sociological inquiry, 74(2), 162-179.

30.

Reynolds, W. M., & Mazza, J. J. (1999). Assessment of suicidal ideation in inner-city children and young adolescent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JR. School Psychology Review, 28(1), 17-30.

31.

Taylor, P. J., McDonald, J., Smith, M., Nicholson, H., & Forrester, R. (2019). Distinguishing people with current, past, and no history of non-suicidal self-injury: Shame, social comparison, and self-concept integrat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46, 182-188.